
A가 B에게 송금을 하는 경우 해당 거래 정보가 담긴 블록이 생성되고 네트워크상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어 참여자들이 거래 정보가 유효한지에 대한 검증을 하게 됩니다. 이때 참여자 절반 이상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거래 내역은 정상 장부로 판단되고 이 과정에서 검증이 완료된 블록은 기존에 있던 블록과 연결되어 체인을 이루게 됩니다. 블록의 복사본들은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에 동일하게 분산되어 저장되며 이처럼 블록체인은 거래 하나하나가 이루어질 때마다 참여자들끼리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이를 대조하면서 데이터의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끊임없이 참조해 이어나가는 방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거래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해시(Hash) 값을 대조하게 만들며 검증 작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일정 수준의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지급하고 이 보상을 얻는 행위를 가상화폐 채굴(Mining)이라고 합니다. 채굴 작업은 여러 명에 의해 이루어지고 모두가 블록 전체를 소유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참여자가 늘어나면 검증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며 보다 많은 채굴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채굴의 난이도는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이 과정에서 거래내역 해킹을 시도할 경우 이론적으로 검증 작업의 51% 이상을 해킹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해킹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용어
- 블록(Block)
거래 데이터의 묶음으로 일정 기간 쌓인 거래를 담는 공간. 이전 블록과 해시(Hash)로 연결되어 블록체인을 형성함. 바디(Body)와 헤더(Header)로 구분되며 바디에는 거래 내용, 헤더에는 암호코드가 담겨있음. 약 10분 주기로 형성되며 처음 시작된 블록을 제네시스 블록이라고 부름
- 블록 타임(Block Time)
일정 블록이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
- 노드(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승인하여 합의하는 역할
- 합의
블록을 생성해 노드에 전파하고 모든 노드가 이전 블록에 동일한 블록을 연결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
- PoS
지분 증명,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비례해 블록을 승인하는 방식
- PoW
작업 증명, 특정 난이도의 작업을 수행했음을 증명하는 기법
- PoA
권한 증명, 신뢰 가능한 일부 노드에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부여하는 합의 방식
- P2P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
중앙 집중식 관리 시스템이 아닌 상호 연결된 참여자(Node, Peer)들이 서로 공유하는 네트워크
- 디앱, 댑(dApp-Decentralizea application)
탈 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의 줄임말로 중간 특정 관리자 없이 활동을 계속하면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쉽게 말해서 안드로이드에 앱=이더리움 댑. 일반 앱의 방식이 중앙 서버를 거치는 방식이라면 디앱은 스마트 계약이 가진 장점을 이용하여 참여자들 사이에 분산 네트워크 구조를 만들고 실행되는 새로운 방식의 앱으로 보면 됨
- 스마트 계약(Smart Contact)
블록체인을 이용해 중개자 없이 계약하는 기능을 말함. 계약을 프로그램화시켜 블록체인에 등록하여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고 계약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해주는 기술. 지불수단의 기능뿐인 비트코인보다 한 단계 발전했다고 해서 블록체인 2.0이라고도 불림
- 해시(Hash)
어떤 문자열을 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
- 해시 캐시(Hash Cash)
해시를 이용해 이메일 스팸과 DOS 공격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해시 캐시를 이용해 작업 증명 시스템 구현 가능
- 해시 파워(Hash Power) = 해시 레이트(Hashrate)
암호화되어 있는 문제를 풀어나가는 속도
- 채굴(Mining)
합의 방식 중에서도 '작업 증명' 방식에서 작업하는 행위
- 논스(Nonce)
작업증명안 알고리즘에서 해시값을 구하기 위해 단 한 번만 사용되도록 생성하는 임의의 숫자
- 가스(Gas)
이더리움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지급하는 네트워크 수수료. 개인 지갑에서 일정 가스를 지불해야지만 코인이나 토큰을 해당하는 지갑 주소로 전송할 수 있음
- 메인 넷(Main Net)
독자적으로 자신만의 플랫폼을 가지면서 토큰이 아닌 정식 코인으로 인정받는 것
- 사이드 체인(Side Chains)
각각 다른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자산 간의 상호 거래를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기술로 예를 들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비트코인의 거래가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비트코인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고 사용 범위 확장이 가능함
출처:
'블록체인 > 개념 개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이란? (0) | 2022.07.06 |
---|---|
블록체인 기술이 지니는 의미 (0) | 2022.05.04 |
블록체인 이란?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