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pp/manifests/Androidmanifest.xml 파일을 보겠습니다.
매니페스트 파일에서는 Android 시스템이 앱의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확보해야 하는 앱에 대한 필수 정보를 시스템에 제공합니다.
- android:theme="@style/AppTheme"
앱의 테마를 설정합니다. /app/res/values/styles.xml 파일에 정의 되어 있습니다. 테마는 앱에서 사용되는 모든 모양, 색깔 들을 지정하고 있으므로, 추후 테마만을 교체하는것으로 앱의 스타일을 바꿀 수 있습니다.
- activity를 정의하는 부분 입니다.
하나의 앱은 여러개의 activity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activity 들은 모두 manifest 파일에 등록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MainActivity 는 <intent-filter> 요소를 사용해서 action과 category 두 가지 intent 를 지정하는데, 이것은 MainActivity가 앱이 실행되면 최초로 보여지는 화면임을 나타냅니다.
2. /app/java 폴더
이 폴더에 java 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현재 이 폴더 아래에 com.tistory.pentode.helloandorid 패키지 아래 MainActivity.java 파일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생성시에 지정한 파일 입니다.
3. /app/res 폴더는 앱에서 사용되는 자원들을 넣는 폴더 입니다.
- drawable : 이 폴더에는 이미지 파일이 들어갑니다.
- layout : 화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파일이 들어갑니다. activity_main.xml 파일도 여기에 있습니다.
- mipmap : 아이콘 이미지 파일이 들어 갑니다.
- valuse : 앱에서 사용하는 공통 리소스 파일들이 들어 갑니다. 앱에서 "@string" 형태로 지정합니다. 현재 colors.xml, strings.xml, styles.xml 파일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앱을 구성하는 프로젝트 폴더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앱이 복잡해질 수로 더 많은 양의 파일들이 생성되겠지만, 이것이 기본이 되는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출처:
'모바일 앱 개발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RecyclerView 와 Adapter (0) | 2021.04.12 |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구조 (상세) (0) | 2021.04.09 |
안드로이드 - 화면 간 이동 원리 (0) | 2021.04.09 |
댓글